우분투 logrotate 설정하기
목차
우분투 로그 로테이트 설정
1
apt-get install logrotate
 
/etc/logrotate.d 으로 이동
gitlab 백업용 로그를 관리하기 위해 touch /etc/logrotate.d/gitlab 으로 파일을 하나 생성해 줌.
이후 아래와 같이 세팅 (주석 내용은 지우도록 함.)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/mnt/gitlab_backup/backup_log/*.log {
  // 로그를 10개까지만 저장
  rotate 10
  // 로그 파일이 180일이 지나면 없애도록 함.
  maxage 180
  // 로그 파일의 사이즈가 10MB가 넘으면 삭제시키도록 함.
  size 10M
  // 월마다 로테이트 진행
  monthly
  // 로테이트되는 로그파일의 권한 및 소유자 지정
  create 644 root root
  // 로테이트되는 로그파일을 압축할지 말지를 결정함 (gzip 압축)
  compress
  // 로그파일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에러처리하지 않음
  missingok
  // 로그 내용이 없으면 로테이트하지 않음
  notifempty
}
 
설정이 끝나면 잘 동작하는지 한번 실행시켜볼 것 (아래 명령어를 통해 강제 실행 가능.)
/usr/sbin/logrotate -f /etc/logrotate.d/gitlab
logrotate 실행 전
logrotate 실행 후
logrotate 확인완료
 This post is licensed under  CC BY 4.0  by the author.

